티스토리 뷰

한문이 말하지 못한 한국사
금요일엔 역사책 1
장지연 (지은이) / 한국역사연구회 (기획) / 푸른역사 / 2023-06-26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19373557

 

언제인가부터 한자가 우리말이 아니라는 인식이 팽배해졌습니다. 저야말로 학창시절에 한문을 참 싫어했습니다만 최근 기조가 한글이 생기기 전 우리 역사와 문화와 멀어지는 부수효과를 낳을까 걱정스럽습니다. 다시 한문병기를 하자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우리 역사 전반에서 소홀해지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이 책은 한글 창제 이전과 이후에 우리 삶을 치열하고도 온전하게 기록하고 나누었던 조상들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여러 시대에서 기록하는 행위에 대한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갑게 느낄 수 있었습니다. 역사 속 위인들의 다른 모습에 놀라기도 하고 실망하기도 했습니다. 역사가 이렇게 생생하게 여겨질 수도 있구나 감탄했습니다. 역사에 조금이라도 관심있다면 일독을 권합니다. 책이 얇아서 부담없으면서도 읽는 내내 경탄할 거라고 감히 말씀 드립니다.


반응형

들어가며
비린내, 누린내, 풋내, 군내
인류가 언제부터 그렇게 문자를 사용해 왔다고?

01_다른 문자가 보여 주는 다른 세계
사라졌을지도 모를 고유 지식
《한경지략》과 〈한양가〉의 서로 다른 한양
서울, 그리고 서울을 부르는 수많은 한자어

02_이두․향찰의 시대에서 한문의 시대로
1,400년이나 쓰인 이두․향찰․구결
향가와 한시, 나란히 걸리다
의천과 김부식이 못마땅해한 차자 시스템
고려, 몽골에 한문 문화를 전하다

03_한글의 시작, 예상 외의 성공
훈민정음은 갑자기 튀어나온 것인가
급속도로 늘어난 ‘배운 사람들’
사투리까지 담아낸 훈민정음
폰트와 필기구, 활자와 기술 그 너머의 이야기

04_언문이 열어 준 조선 사회의 틈새
정조의 뒤쥭박쥭, 양반 남성도 한글 썼다
여성, 불멸을 꿈꾸며 소리치다
언문, 가족의 일상과 관계를 바꾸다
변경에서 성장하는 새로운 독서

나오며
참고자료
찾아보기

반응형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라리아 조심하세요  (0) 2024.06.23
밝은 밤  (0) 2024.03.25
을지로 커피한약방  (1) 2024.03.22
느릿느릿한 영화이겠지요  (1) 2024.02.12
한국 현장은 일본보다 더 많이 다치고 더 많이 죽고 있다  (1) 2024.02.12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